한국무궁화연구회

연구회 연혁

History

2016 ~ 2024

2024

8.14. 제24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서울식물원 공동주최, 성천문화재단 협조

2023

8.16. 제23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성천문화재단, 전남 장성군 후원

2022

8.25. 제22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성천문화재단, 한국수묵원정관리원, 국립세종수목원 후원​

2021

10.14. 제21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성천문화재단, 서울식물원 후원​

2020

11.11. 제20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성천문화재단 후원

2019

8.7. 제19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천리포수목원 공동주최,
성천문화재단 후원세종수목원 후원

1.31. 제6대 회장으로 김기선 교수 선출

2018

9.6. 2018년 무궁화 식재∙관리 실태조사(발주: 산림청)

8.14. 제18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2017

8.14. 제17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7.20. 송희섭 박사를 제5대 회장으로 추대

2016

8.12. 제16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2009 ~ 2015

2015

12.22. 2015년 국가상징 선양 유공 장관(단체) 표창 수상

7.17. 제15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2014

8.13. 정기총회 및 제14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무궁화문화포럼 공동주최, 산림청 후원

2013

7.3. 제13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2012

6.5. 사단법인 한국무궁화연구회 주무관청 산림청으로 이관

6.19.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 산림청 주관)

2011

8.15. 제4대 회장으로 이종석 교수 선임 주관부서를 농촌진흥청에서 산림청으로 이관 추진 결정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6.9.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 산림청 주관) ​

2010

4.30. 정기총회 개최(서울대 농생대) 윤평섭, 이종석, 송희섭 부회장 선임
감사에 한인송 교수외에 김영만 무궁나라 대표 선출
사무차장에 서울시립대 김완순 교수, 편집차장에 영남대 오욱 교수를 선임

8.8 정기총회 개최(송도컨벤시아)
이정식 수석부회장을 제3대 회장으로 추대

2009

4.15. 제12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3:00 대전컨벤션센터 컨퍼런스홀) 한국무궁화연구회,한국원자력연구원 주최,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후원, 한국스테비아,
한국과기산업, 바보난농원, 다인바이오 협찬

1996 ~ 2006

2006

7.31. 제11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부산시 영광도서 문하사랑방 4층)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부산무궁화선양회 후원

2005

8. 제2대 회장으로 홍영표 박사 취임

2004

10.24. 류달영 초대회장 별세
(홍영표 부회장 회장직무대행)

2003

8.사무실 이전(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9동 산 56-1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주소이전 등기: 2006. 11. 9)

2002

8.8. 제10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원예연구소(탑동) 강당)

2000

8. 제9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998

8.10. 제8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0:30 성천문화재단 강당)

1997

8.14. 무궁화연구 제1권 1호 창간

1996

8.31. 제7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및 가로수무궁화 정책토론회
(14:00 성균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한국무궁화연구회, 성균관대학교 주관, 서해개발 후원

1989 ~ 1995

1995

8.14. 제6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4:00 서울대학교 경영관 국제회의장)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서울대학교, 총무처, 교육부, 농촌진흥청 후원

1994

8.12. 제5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4:00 성균관대학교 식물원)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성균관대학교 주관, 농촌진흥청, 산림청, 한국화훼연구원 후원

1993

8.13. 제4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4:00 농업진흥회관 대강당)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총무처, 농촌진흥청, 산림청, 삼성물산 후원

1.25. 전국무궁화 노거수 실태조사 보고서 ‘마라도에서 판문점까지’ 출판​

1992

8.12. 제3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14:00 농수산물유통공사 화훼공판장 대강당) 한국무궁화연구회, 농수산물유통공사 주최, 농촌진흥청, 삼성물산 후원
제3회 무궁화큰잔치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산림청, 삼성물산 공동주최, 총무처 후원

1991

9.13. 농촌진흥청에 사단법인 등록(124-82-05350)

8.14. 제2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14:00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삼성물산 후원
제2회 무궁화큰잔치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산림청, 삼성물산 공동주최, 총무처 후원

10.23. 사업계획협의회 개최(원예시험장 화훼과장실)

1990

8.14. 정기총회 개최(농업진흥회관)
제1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4:00 서울 프레스센터) 한국무궁화연구회, 동아일보 공동주최, 삼성물산 후원
제1회 무궁화큰잔치 개최
경희궁 한국무궁화연구회, 산림청, 삼성물산 공동주최, 총무처 후원

1989

4.7. 이사회 개최(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회의실)
나라꽃무궁화 심포지엄 개최에 관한 토의

10.19. 이사회 개최(농업진흥회관)
서울대 김기선 교수를 상임이사로 선출
이사진 추가: 박권우, 심우경, 박효근, 김의영, 이만상, 박천호, 서정근,
정해준, 윤평섭, 구자형, 구석회

8.14. 총회개최(원예시험장 소회의실)
명칭을 한국무궁화연구회로 개칭키로 함
사무실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에 두기로 결의

1985 ~ 1987

1987

10.15. 총무간사 서울대 염도의 교수 교통사고로 순직


1986

3.22. 제1차 이사회 개최(15:00 농업진흥회관 회의실)
회칙수정안, 사업계획 및 예산안, 사회단체등록안, 총회개최안 등 심의

3.7. 회장단과 동아일보 김상만 회장 오찬

1985

7.26. 가칭 한국무궁화연구보급회로 창립 총회 및 임원선출
창립회원 52명중 34명(위임 16명) 참석
임원선출: 회장 류달영, 부회장 홍영표, 곽병화, 김광래, 최시중
이사: 김경제, 이종석, 박정기, 이종석. 박화성, 전재기, 백기엽, 정을병,
이기의, 정장섭, 이병기, 정순경, 이석구, 최주견, 이정식
감사: 정인기, 김완규
총무간사: 염도의

3.14. 발기인 회의 개최(오후 6시, 농업진흥회관)
1) 발기취지문, 2) 회칙초안 심의, 3) 창립발기인가 회원들의 명부 작성,
4) 창림총회 일시, 장소, 의안 allc 회비, 창림총회 경비 등 예산안을 편성

2024

2023

2022

2021

2020

8.14. 제24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서울식물원 공동주최, 성천문화재단 협조

8.16. 제23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성천문화재단, 전남 장성군 후원

8.25. 제22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성천문화재단, 한국수묵원정관리원, 국립세종수목원 후원​

10.14. 제21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성천문화재단, 서울식물원 후원​

11.11. 제20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성천문화재단 후원

2019

2018

2017

2016

8.7. 제19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천리포수목원 공동주최,
성천문화재단 후원세종수목원 후원

1.31. 제6대 회장으로 김기선 교수 선출

9.6. 2018년 무궁화 식재∙관리 실태조사(발주: 산림청)

8.14. 제18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8.14. 제17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7.20. 송희섭 박사를 제5대 회장으로 추대

8.12. 제16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2009 ~ 2015

2015

2014

2013

2012

12.22. 2015년 국가상징 선양 유공 장관(단체) 표창 수상

7.17. 제15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8.13. 정기총회 및 제14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무궁화문화포럼 공동주최, 산림청 후원

7.3. 제13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산림청 후원

6.5. 사단법인 한국무궁화연구회 주무관청 산림청으로 이관

6.19.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 산림청 주관)

2011

2010

2009

8.15. 제4대 회장으로 이종석 교수 선임 주관부서를 농촌진흥청에서 산림청으로 이관 추진 결정

6.9.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 산림청 주관)

4.30. 정기총회 개최(서울대 농생대) 윤평섭, 이종석, 송희섭 부회장 선임 감사에 한인송 교수외에 김영만 무궁나라 대표 선출 사무차장에 서울시립대 김완순 교수, 편집차장에 영남대 오욱 교수를 선임

8.8 정기총회 개최(송도컨벤시아)
이정식 수석부회장을 제3대 회장으로 추대

4.15. 제12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3:00 대전컨벤션센터 컨퍼런스홀) 한국무궁화연구회,한국원자력연구원 주최,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후원, 한국스테비아, 한국과기산업, 바보난농원, 다인바이오 협찬

1996 ~ 2006

2006

2005

2004

2003

2002

7.31. 제11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부산시 영광도서 문하사랑방 4층)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부산무궁화선양회 후원

8. 제2대 회장으로 홍영표 박사 취임

10.24. 류달영 초대회장 별세(홍영표 부회장 회장직무대행)



8.사무실 이전(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9동 산 56-1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 학 원예학과)(주소이전 등기: 2006. 11. 9)

8.8. 제10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원예연구소(탑동) 강당)

2000

1998

1997

1996

8. 제9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8.10. 제8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0:30 성천문화재단 강당)

8.14. 무궁화연구 제1권 1호 창간

8.31. 제7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및 가로수무궁화 정책토론회 (14:00 성균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한국무궁화연구회, 성균관대학교 주관, 서해개발 후원

1989 ~ 1995

1995

1994

1993

1992

8.14. 제6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4:00 서울대학교 경영관 국제회의장)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서울대학교, 총무처, 교육부, 농촌진흥청 후원

8.12. 제5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 14:00 성균관대학교 식물원)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성균관대학교 주관, 농촌진흥청, 산림청, 한국화훼연구원 후원

8.13. 제4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 14:00 농업진흥회관 대강당)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총무처, 농촌진흥청, 산림청, 삼성물산 후원

1.25. 전국무궁화 노거수 실태조사 보고서 ‘마라도에서 판문점까지’ 출판

전국무궁화 노거수 실태조사 용역( 발주: 삼성물산)

8.12. 제3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 14:00 농수산물유통공사 화훼공판장 대강당) 한국무궁화연구회,농수산물유통공사 주최, 농촌진흥청, 삼성물산 후원 제3회 무궁화큰잔치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산림청, 삼성물산 공동주최, 총무처 후원

1991

1990

1989

9.13. 농촌진흥청에 사단법인 등록(124-82-05350)

8.14. 제2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14:00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
한국무궁화연구회 주최, 삼성물산 후원
제2회 무궁화큰잔치 개최
한국무궁화연구회, 산림청, 삼성물산 공동주최, 총무처 후원

10.23. 사업계획협의회 개최(원예시험장 화훼과장실)

8.14. 정기총회 개최(농업진흥회관)
제1회 나라꽃무궁화심포지엄 개최
(14:00 서울 프레스센터) 한국무궁화연구회, 동아일보 공동주최, 삼성물산 후원
제1회 무궁화큰잔치 개최
경희궁 한국무궁화연구회, 산림청, 삼성물산 공동주최, 총무처 후원

4.7. 이사회 개최(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회의실) 나라꽃무궁화 심포지엄 개최에 관한 토의

10.19. 이사회 개최(농업진흥회관) 서울대 김기선 교수를 상임이사로 선출 이사진 추가: 박권우, 심우경, 박효근, 김의영, 이만상, 박천호, 서정근, 정해준, 윤평섭, 구자형, 구석회

8.14. 총회개최(원예시험장 소회의실) 명칭을 한국무궁화연구회로 개칭키로 함 사무실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에 두기로 결의

1985 ~ 1987

1987

1986

1985

10.15. 총무간사 서울대 염도의 교수 교통사고로 순직


3.22. 제1차 이사회 개최(15:00 농업진흥회관 회의실) 회칙수정안, 사업계획 및 예산안, 사회단체등록안, 총회개최안 등 심의

3.7. 회장단과 동아일보 김상만 회장 오찬

7.26. 가칭 한국무궁화연구보급회로 창립 총회 및 임원선출 창립회원 52명중 34명(위임 16명) 참석 임원선출: 회장 류달영, 부회장 홍영표, 곽병화, 김광래, 최시중 이사: 김경제, 이종석, 박정기, 이종석. 박화성, 전재기, 백기엽, 정을병, 이기의, 정장섭, 이병기, 정순경, 이석구, 최주견, 이정식 감사: 정인기, 김완규 총무간사: 염도의

3.14. 발기인 회의 개최(오후 6시, 농업진흥회관) 1) 발기취지문, 2) 회칙초안 심의, 3) 창립발기인가 회원들의 명부 작성, 4) 창림총회 일시, 장소, 의안 allc 회비, 창림총회 경비 등 예산안을 편성

위로 스크롤